야호학교는?
청소년들이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서‘해야 할 일’이 아닌 ‘하고 싶은 것’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, 도전을 통한 실패와 작은 성공의 경험으로 미래의 해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곳입니다.
야호학교는 왜 시작되었나?
- 갈수록 낮아지는 청소년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소득에 따른 학교밖 시간의 교육 불균형 가중 등 교육에 대한 지자체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음.
-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도와줄 프로그램과 전용 활동공간 부족 등 상대적으로 낙후된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,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전주만의 독창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함.
- 느림을 추구하는 행복도시 전주형 삶과 미래사회에 적합한 능력을 갖춘 지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시작되었음.
야호학교가 궁금해요?
- 기간 : 1월 ~ 12월 / 학기중(주말‧방과후), 방학중
- 대상 : 전주시 거주 13~18세 청소년
- 장소 : 야호학교
- 활동 : 공통 관심 영역별로 팀을구성(1팀 10명 내외)하여 청소년 스스로 하고 싶은 활동을 고민하고 친구들과 함께 실제로 해보면서 자신의 적성을 찾고 전주에 대한 자긍심도 갖는 즐거운 경험을 갖게 됨.
- ※ 밴드에서 ‘야호학교’를 검색하시면 야호학교 활동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야호학교는 어떻게 진행되나?
참가자모집 | ![]() |
희망 프로젝트 팀구성 |
![]() |
프로젝트 심사 (서류 및 면접) |
![]() |
프로젝트 운영 (팀별 자치) |
![]() |
프로젝트 발표회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
|
|
|
오시는길
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439 ☎281-5324
시설안내
- 이용대상 : 전주시에 거주하는 1318 청소년 누구나
- 이용시간 : 평일(화~금) 14:00 ~ 20:00, 주말(토,일) 10:00 ~ 18:00
- ※ 매주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합니다.
그간 발자취
- 자료수집 및 과제 선정
- 전문가 간담회(5회 교육전문가 등) : '15. 8. ~'16.11월
- 모델발굴 협의회 운영(전문가 8명 6회) : '16. 2. ~'17. 1월
- 우수 사례 자료 수집 및 벤치마킹(4회) : '16. 6. ~'17. 4월
- 의견수렴 및 인식 저변 확대
- 청소년설문조사(중․고생 400명, 놀이실태 등) : '16. 4월
- 청소년 기관 실무자 간담회(5회) : '16. 5. ~ 6월
- 청소년·학부모 원탁회의(9회 463명) : '16. 6. ~ 7월
- 전주교육 발전방향 워크숍(100명), 직원 마인드 제고 역량강화교육(160명) : '16. 7. ~ 9월
- 홍보영상 제작 및 찾아가는 사업설명회 추진 : '17. 3. ~ 4월
- 사업명칭 공모‧선정(126건, 야호학교) : '17. 4월
- 엠블럼 시민 의견 수렴(2,231명) : '17. 5. ~ 6월
- 학부모 사랑방 운영(4기 13회) : '17. 8. ~12월
- 유관 기관 실무자 간담회(3회) : '17. 8. ~12월
- 지역 교육풀 구성‧운영(30명) : '17. 11.~현재
- 운영 준비
- 청소년 기획단 운영(중·고30명) : '16. 9. ~ 11월
- 틔움활동단 양성·운영(2기, 기수별30명) : '16. 11.~ '17.12월
- 기본계획수립 연구용역 추진(전주대산학협력단) : '16. 11.~ '17. 1월
- 운영협의회 구성·운영(12명, 민간전문가 등) : '17. 4. ~ 현재
- 전담인력 확보, 활동공간 구성 : '17. 3. ~ 7월
- 전주형 창의교육 야호학교 운영(개소식 7. 8.) : '17. 7. ~ 12월
- '17.1기 프로젝트 운영('17. 7. 8. ~ 8. 26.)
- - 프로젝트 심의(7.27. 인성창의위원회), 프로젝트 발표회(8.26.)
- - 40명, 7개 프로젝트 ※ 1기 프로젝트는 야호학교 공간 구성 활동으로 운영
야호메이커(복도꾸미기), 썸머스쿨(음악실), 뚝딱뚝딱 R&C(공방 및 공예품제작), 미디어박스(영화관), 걷다보니여기(쉼터), 스포츠그램(체육공간), 나눔한마당캠프(1박2일)
- '17.2기 프로젝트 운영('17. 9. 9. ~ 11. 25.)
- - 프로젝트 심의(9.29.), 김장나눔행사(11.18), 프로젝트발표회(12.2.)
- - 50명, 9개 프로젝트
전생훔치기(한옥마을 인식설문), 메아리(공예품 제작․판매), 라스트릿(야호학교 음반 제작), 리밋오버(자전거 타고 봉사활동 및 명소탐방), Fish(낚시로 청소년·부모 관계증진), 벙글다(야호학교 홍보 단편 영화제작), 채소DREAM(농작물 이용 실험 및 재배·판매), CROP(전주 숨은 명소 발굴․홍보), 야호학교공동체활동